자료형(data type) | 키워드(keyword) | 메모리 |
문자형 데이터 | char | 8bit(1 byte) |
부호 있는 정수형 데이터 | int | 32bit(4 byte) |
부호있는 실수형 데이터 | float | 32bit(4 byte) |
부호있는 실수형 데이터 | double | 64bit(8 byte) |
자료형이 정해지지 않음 | void | - |
쉽게 말해 char 문자형 = 'a' 'b' 'c' 하나의 문자만 취급 (아스키 코드)
아스키 코드는 이진수로 문자를 숫자로 표현해놓은 약속
int 는 정수 다만 +- 부호가 있는
float double 또한 부호가 있는 실수
double은 이름에 맞게 float의 두 배만큼의 크기를 가짐
여기서 부호 없는 자료형의 키워드는 무엇이냐
앞에 unsigned를 붙혀주면 된다.
ex) unsigned int , unsigned float, unsigned double
두가지의 공통점은 셀 수 있는 숫자의 개수이고
다른 점은 세는 범위이다
부호가 있는 데이터의 범위는 -2^(bit -1) ~ 2^(bit -1) -1 이다
부호가 없는 데이터의 범위는 0 ~ 2^bit -1 이다
void는 데이터형이 없다 이는 함수를 설명 할 때 이해가 될 것이다.
'C,C++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언어 기초 4 입력 (0) | 2023.08.09 |
---|---|
C 언어 기초 3 데이터 출력 (0) | 2023.08.07 |
C 언어 기초 1 (0) | 2023.08.07 |